※. 첨가제
⇒ 도료의 표면결함 원인과 영향
도료 자체 원인(용제증발, 수지의 경화반응)
외부의 영향(도료의 미립자, 먼지, 소재의 오염)
↓
표면장력에 영향
↓
소재습윤성 불량, 분화구 현상, 버나드셀 형성, 색분리 등
⇒ 첨가제의 사용효과: 도료의 표면장력에 영향을 미치거나, 표면장력의 차이를 최소화시킴.
1) 소재습윤성 향상: ① 도료의 표면장력 > 피도체의 표면장력
→ 도료의 표면장력 ≤ 피도체의 표면장력
② 실리콘 첨가제가 유용 (BYK-306,307,333 / BYK-346,348)
2) 분화구현상 방지: ①도료미립자의 표면장력<유동성이 있는 도료표면의 표면장력
→ 도료미립자의 표면장력>유동성이 있는 도료표면의 표면장력
② 실리콘 첨가제가 유용 (BYK-306,307,333,337)
3) 버나드셀 현상 방지: ① 밀도, 온도, 특히 표면장력의 차이
↓
도료의 경화와 수지의 건조 과정중에 도막내에서 대류현상 발생.
② 대부분의 실리콘 첨가제 사용가능.
4) 색분리 현상 방지: 대류현상에 따라 도막의 표면에 안료들이 불균일하게 분포.
↓
수평면일 경우: 색분리 현상
수직면일 경우: 줄무늬 현상
5) 표면유동성 향상: ① 도료의 표면장력과 유동성 영향→ 표면유동성 변화
:우수한 레벨링 첨가제 사용, 배합내 적합한 원료 선정. ② 주로 아크릴레이트 첨가제 사용.
Ⅰ. Silicone 계 첨가제
⇒ Poly-dimethyl-siloxanes
- 첨가제 투여량↑ ⇒ 표면장력↓ 비율 : BYK-306/333 > BYK-300
- 첨가제 투여량↑ ⇒ surface slip↑ 비율 : BYK-306/307/333 > BYK-300
1. 표준형 실리콘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20℃) |
고형분 (%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적용분야(우수) |
BYK-300 |
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용액 |
0.94 |
52 |
0.1~0.3 |
유용성 도료 |
- 작용: 도료의 표면장력 저하시킴, 레벨링 및 광택 향상, 표면 슬맆성 증가
- 작업방법 및 공정: 어느 공정에나 투입할 수 있으며, 도료제조 후 추가 투입도 가능함.
2. 표면 장력 저하효과가 강한 실리콘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20℃) |
고형분 (%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적용분야 (우수) |
BYK-306 |
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용액 |
0.93 |
12.5 |
0.1~0.5 |
유용성 도료 |
BYK-307 |
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|
1.03 |
≥97 |
0.01~0.15 |
유용성 도료 무용제 도료 |
BYK-308 |
폴리에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관능기의 폴리디메틸실록산 |
1.06 |
≥97 |
0.05~0.2 |
유용성 도료 무용제 도료 |
BYK-333 |
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|
1.04 |
≥97 |
0.05~0.3 (수성 및 UV도료 1.0까지) |
유용성 도료 무용제 도료 수계 도료 |
- 특성 및 장점
BYK-306: 소재 습윤성을 가장 양호하게 해줌, 먼지와 도료의 미립자에 대한 적응성 을 증가시킴, 수직면의 도막 두께를 더 높게 유지해 줌.
BYK-333: 우수한 상용성, 표면 슬맆성/소재 습윤성 향상.
- 작용: 도료의 표면장력 강하게 저하시킴, 분화구 현상 방지, 표면슬맆성 증가
- 작업방법 및 공정: 어느 공정에나 투입할 수 있으며, 도료제조 후에도 투입 가능함.
3. 반응성 실리콘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20℃) |
고형분 (%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적용분야 (우수) |
BYK-370 |
폴리에스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 |
0.92 |
25 |
0.1~0.5 |
유용성 도료 |
BYK-371 |
폴리에스테르 변성 아크릴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용액 |
0.94 |
40 |
0.1~0.5 |
유용성 도료 |
BYK-373 |
폴리에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용액 |
0.99 |
50 |
0.1~0.5 (UV도료의 레벨링성향상을 위해 0.05~0.4) |
유용성 도료 무용제 도료 |
BYK-375 |
폴리에테르-폴리에스테르 변성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용액 |
0.98 |
25 |
0.1~2.0 |
수계 도료 |
- 특성 및 장점
BYK-370: 자체의 OH기에 의하여 수지와 반응을 할 수 있음, 표면슬맆성 증가.
BYK-371: 아크릴 기능기를 갖고 있어 모든 UV경화형에 적합, 소재습윤성 향상.
BYK-373: 각 분자내에 하이드록시기 BYK-370<BYK-373 →표면장력저하 효과 및 표 면 슬맆성 향상효과 다소 감소, 레벨링성 첨가제의 반응성분은 활성이 없다.
BYK-375: 보조용제의 함량이 적은 수계도료에 특히 적당하며 상용성 좋음.
- 작용: 슬맆성, 내용제성, 내후성, 내점착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킴.
(반응성기는 경화 반응에 참가→ 비반응성 실리콘 첨가제보다 장기간 유지 가능.)
- 작업방법 및 공정: 어느 공정에나 투입가능, 도표제조후 추가 투입도 가능.
4. 소재 습윤성 향상을 위한 수계도료용 실리콘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20℃) |
고형분 (%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적용분야 |
BYK-346 |
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용액 |
1.00 |
45 |
0.1~1.0 |
수계 도료 |
BYK-348 |
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|
1.06 |
>96 |
0.05~0.5 |
수계 도료 |
- 특성 및 장점
BYK-346: 전체 배합 중 용제의 함량이 3~7%인 경우 가장 효과 좋음.
BYK-348: 특히 무용제 수계 도료에 적합.
- 작용: 소재 습윤성 향상, 표면 유동성 및 레벨링성 향상, 표면장력 저하시킴.
- 작업방법 및 공정: 일반적으로 마감 도료에 넣는 것이 좋으나, 필요시에는 어느 공정에 나 넣어도 무방.
4. TEGO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DIN 51757-4) |
점도 (DIN 53015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TEGO Glide 410 |
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|
1.00~1.02g/ml |
1200~2500 mPas (25℃) |
수성 및 유성 공업용 도료: 0.03~0.3% |
- 특성 및 장점: 유성,수성, 자외선 경화형 도료에 일반적으로 사용.
내스크레치성 향상, 표면의 얼룩 및 불균일함 방지, 오염에 의한 크레터 링의 방지 제거
- 작업방법: 공급된 상태 또는 희석하여 투입.
Ⅱ. 아크릴레이트 계 첨가제 (주로 표면유동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됨.)
⇒ 수계도료용 레벨링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20℃) |
고형분 (%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적용분야 |
BYK-380 |
비이온계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용액 |
1.05 |
52 |
0.1~1.0 |
수계 도료 |
BYK-381 |
이온계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용액 |
1.03 |
52 |
0.1~1.0 |
수계 도료 |
- 특성 및 장점
BYK-380: 표면장력 저하, 소재 습윤성 향상, 분화구 현상 감소.
BYK-381: 오직 레벨링성만 향상시킴.
- 작업방법 및 공정: 마감공정 시 교반기로 혼합하면서 투입하는 것이 좋음.
⇒ TEGO 첨가제
첨가제 종류 |
주요 성분 |
밀도 (DIN 51757-4) |
점도 (DIN 53015) |
추천량 (전체배합중) |
TEGO Flow 300 |
아크릴 고분자 용액 |
0.96~0.98g/ml (25℃) |
50~90 mPas (25℃) |
공업용도료: 0.1~0.5% UV도료: 0.1~0.8% |
TEGO Flow ZFS 460 |
아크릴 고분자 용액 |
0.96~0.98g/ml (25℃) |
100~250 mPas (25℃) |
공업용도료: 0.05~0.4% UV도료: 0.03~0.5% |
- 특성 및 장점
TEGO Flow 300: 특히 유성도료 및 UV경화도료에 적합.
레벨링성 향상, 상용성 우수, 열안정성, 재도장성 우수.
TEGO Flow ZFS 460: 특히 유성도료 및 UV경화도료에 적합.
탈포효과, 열안정성, 재도장성 우수.
- 작업방법: 공급된 상태 또는 희석하여 사용.
TEGO Flow ZFS 460 경우, 투명도료에서는 상용성이 제한적.